올림포스 영어독해기본2 8강 한줄 해석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2 (2022 개정)

8강 어법 정확성

Analysis 비례 대표제에 대한 우려

Critics sometimes worry that by making it easier for small parties to win seat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will encourage the growth of extremist groups standing on hateful or anti-democratic platforms.
비평가들은 비례 대표제가 군소 정당이 의석을 확보하는 것을 쉽게 만듦으로써 혐오 또는 반민주적 공약을 내세우는 극단주의 단체의 성장을 부추길 것이라고 때때로 우려한다.
Of course, no one committed to liberal and democratic values wants to see these kinds of parties taking seats in the legislature.
물론 자유주의와 민주적 가치에 전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도 이런 종류의 정당이 주 의회에서 의석을 거머쥐는 것을 보고 싶어 하지 않는다.
But it would be wrong to rig our political system to exclude them just because we disagree with their views.
하지만 우리가 단지 그들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들을 배제하도록 우리의 정치 시스템을 조작하는 것은 잘못된 일일 것이다.
Proportional voting systems provide a democratic vent for populist anger and discontent, creating clear incentives for mainstream parties to address underlying social problems and to win back votes.
비례 투표제는 대중 영합주의적 분노와 불만에 대한 민주적인 배출구를 제공하고, 주류 정당이 근본적인 사회 문제를 처리하고 표를 되찾을 확실한 동기를 창출한다.
We also have to remember that small parties can play a value role in highlighting specific issues that have been overlooked, as has often been the case with ‘Green’ parties.
또한 ‘녹색’당에서 보통 흔히 일어난 일인데, 간과되어 온 특정 문제를 부각하는 데 있어 군소 정당이 가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In any case, the European experience suggests that there is no overall tendency for extremist parties to increase their numbers over time under proportional systems.
어쨌든 유럽의 경험이 시사하는 바에 따르면, 비례제 아래에서 극단주의 정당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석수를 늘리는 전반적인 경향은 존재하지 않는다.

1 역할 놀이

Role-playing is an extension of representational skills.
역할 놀이는 표현 능력의 확장이다.
Children role-play when they use not only materials and objects but also voice and actions to represent others during play.
아이들이 놀이 중에 다른 사람을 표현하기 위해 용구와 물건뿐만 아니라 목소리와 행동을 사용할 때 역할 놀이를 하는 것이다.
Infants and toddlers begin to play a role when they imitate adults’ language, dress, or actions.
영아와 유아는 어른의 언어, 옷차림 또는 행동을 모방할 때 역할 놀이를 시작한다.
An older child expands on this role by imitating familiar roles, such as a parent or doctor.
더 나이 든 아이는 부모나 의사와 같은 친숙한 역할을 모방함으로써 이 역할을 더 상세히 서술한다.
The child uses gestures and language to communicate his understanding of what this role represents.
아이는 몸짓과 언어를 사용하여 이 역할이 무엇을 표현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전달한다.
He uses the doctor kit or kitchen playthings as props to support his actions while he plays.
아이는 놀이를 하는 동안 자신의 행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의사 키트나 주방 장난감을 소품으로 사용한다.
For instance, he may use a cylinder-shaped block as a syringe when pretending to be a doctor.
예를 들어 아이는 의사인 척을 할 때, 원통 모양의 블록을 주사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As he becomes familiar with other people and their roles, he may imitate them with the actions and verbalizations of a grocer, waiter, or firefighter.
아이가 다른 사람과 그들의 역할에 익숙해지면서 아이는 식료품점 직원, 웨이터, 혹은 소방관의 행동과 발화와 함께 그들을 모방할 수 있다.
Playing fantasy characters, such as a monster or a superhero, becomes common once a child is able to engage in more abstract thinking.
아이가 좀 더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되면 괴물이나 슈퍼히어로와 같은 판타지 캐릭터를 연기하는 것이 흔해진다.

2 언어와 문화의 관계

People are inherently social creatures, and in order to connect and regulate their social interactions, they must internalize their cultures.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동물이고, 사회적 상호 작용을 연결하고 조절하기 위해, 자신의 문화를 내면화해야 한다.
But cultures cannot be internalized without language.
그러나 문화는 언어 없이 내면화될 수 없다.
Indeed, language is the vehicle through which we learn about our social world, discover its rules and values, and express our personal natures, allowing us to connect with others, both in relationships of exchange and of caring.
실제로, 언어는 우리가 사회 세계에 대해 배우고, 그 규칙과 가치관을 발견하며, 우리 개인의 본성을 표현하는 수단인데, 이는 교류와 배려의 관계 모두에서, 우리가 다른 이들과 연결되게 해 준다.
Cultures themselves interact. As far back as the origins of human history, groups of individuals sharing a common culture and language made contact with other groups, each unified by their own shared tongue.
문화 자체는 상호 작용한다. 인류 역사의 기원으로까지 멀리 거슬러 올라가면, 공통된 문화와 언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이 다른 집단과 접촉했는데, 그 집단 각각은 자신만의 공통 언어로 통합되어 있다.
Of great value was anyone who could ably facilitate those intergroup contacts ― those people who were multilingual.
그러한 집단 사이의 접촉을 능숙하게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사람, 즉 다국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큰 가치가 있었다.
Today we humans exist in a globally interconnected world.
오늘날 우리 인간은 전 세계적으로 상호 연결된 세상에 존재한다.
We can transact with people from anywhere in seconds through the internet, or visit them through rapid means of travel, and in doing so experience a bit of their cultures.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어디서든 몇 초 안에 사람들과 교류하거나 빠른 이동 수단을 통해 그들을 방문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의 문화를 얼마간 경험할 수 있다.

3 발견 학습을 위한 미술·디자인 수업 구상

To make art and design irresistible, the teacher must commit to providing opportunities that incite feelings of surprise and, thus motivational discovery and learning.
미술과 디자인을 매우 매력적이게 만들기 위해 교사는 놀라움의 감정과 그에 따라 동기 부여가 되는 발견과 학습을 불러일으키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전념해야 한다.
This teaching approach is exciting ― it allows the practitioner to consider what is tempting in learning, what drives an individual to find out and discover.
이러한 교육 접근 방식은 흥미진진한데, 그것은 종사자(교사)가 학습에서 무엇이 매력적인지, 무엇이 개인으로 하여금 알아내고 발견하게 만드는지 고려할 수 있게 해 준다.
The teacher needs to remember what it is about learning that makes it irresistible, and then design their lessons, their spaces of learning and their teaching materials accordingly.
교사는 학습에 대하여 그것을 매우 매력적이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기억하고, 그런 다음 그에 맞게 자신의 수업, 학습 공간, 수업 자료를 고안해야 한다.
This is not teaching that rigidly conforms to an instructional, target-bound paradigm.
이것은 교육적이고 목표에 얽매인 패러다임을 엄격하게 따르는 가르침이 아니다.
It is essential to provide classrooms that have no ceiling when creative minds are operating and finding out.
창의적인 사고가 작동하여 발견하고 있을 때 한계가 없는 교실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Classrooms of young children should be alive, dynamic and changeable, encouraged by a theme of the moment or an interest that pervades children’s imaginations.
어린아이들의 교실은 순간의 주제나 아이들의 상상력에 고루 미치는 관심사에 의해 촉진되면서, 살아 있고, 역동적이면서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올림포스 영어독해기본(2) 8강 변형

올림포스 영어독해기본2 1강 한줄 해석

올림포스 영어독해기본1 16강 한줄 해석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