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2 (2022 개정)
4강 함축적 의미
Analysis 주식 시장의 무작위성
“Human nature likes order,” wrote the economist Burton Malkiel in his seminal book A Random Walk Down Wall Street.
“인간의 본성은 질서를 좋아한다.”라고 경제학자 Burton Malkiel은 그의 영향력이 큰 책 A Random Walk Down Wall Street에 썼다.
“People find it hard to accept the notion of randomness.”
“사람들은 무작위성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한다.”
Malkiel popularized the idea that the movement of any individual stock in the market is essentially random ― it’s impossible to know why a stock is doing what it’s doing.
Malkiel은 시장에서 어떠한 개별 주식의 움직임도 본질적으로 무작위적이라는 개념을 대중화했는데, 어떤 한 주식이 왜 그런 행위를 하고 있는지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People who reliably make money from the market are those who own a diverse portfolio of different kinds of investments, which spreads out the risk, with the broader principle that the market, over the long haul, will eventually increase in value.
시장에서 확실하게 돈을 버는 사람들은 시장이 장기간에 걸쳐 결국에는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는 더 폭넓은 원칙을 가지고, 위험을 분산시키는 여러 다른 종류의 투자를 담은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사람들이다.
Picking individual stocks, or betting on certain trends, is much closer to gambling than science.
개별 종목을 선택하는 것, 즉 특정 동향에 돈을 거는 것은 과학이라기보다는 도박에 훨씬 더 가깝다.
Which is why we shouldn’t be too surprised that a cat is just as likely to make a killing on Wall Street as a day trader.
그것이 바로 고양이가 월스트리트에서 단타 매매자만큼이나 큰돈을 벌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우리가 너무 놀라지 말아야 하는 이유이다.
1 야생 동물의 공격으로 인한 사고
In the complex story of nature’s ways, people exploring the wild’s twisting paths often discover themselves caught in dangerous situations.
자연의 길에 관한 복잡한 이야기에서, 야생의 구불구불한 길을 탐험하는 사람들은 자주 위험한 상황에 처해진 자신을 발견한다.
Bears, cougars, and other wild animals sometimes remind us of their formidable presence.
곰, 쿠거, 그리고 다른 야생 동물은 때때로 자신의 무시무시한 존재감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Despite the infrequency,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accumulated instances where these guardians of the wilderness become aggressors, resulting in tragic outcomes for unsuspecting explorers.
비록 드물기는 하지만, 이러한 야생의 수호자들은 공격자가 되어, 이상한 눈치를 못 채는 탐험가에게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상당히 많은 수의 누적된 사례가 있다.
Yet amid these serious situations, a remarkable turn of events occurs, like unexpected notes in a familiar song.
그러나 이러한 심각한 상황 속에서도, 마치 익숙한 노래 속의 예상치 못한 음표처럼, 사건의 놀라운 반전이 발생한다.
In Oregon’s forests in 1995, a man was found dead, initially blamed on a cougar, but subsequent investigation revealed otherwise.
1995년 오리건주의 숲에서, 한 남자가 죽은 채 발견되었는데, 처음에는 쿠거의 탓으로 여겨졌지만, 후속 조사에서 그렇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Similarly, in 2015, a comparable incident occurred, with initial suspicions falling on a nearby wolf pack.
마찬가지로, 2015년에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처음에는 인근 늑대 무리에게 의심이 쏠렸다.
However, upon closer investigation, it became apparent that the wolves were innocent bystanders in the man’s tragic fate, emphasizing the complexity inherent in such wilderness tragedies.
그러나 더 면밀한 조사를 하자, 늑대는 그 남자의 비극적인 운명에서 무고한 구경꾼이었음이 분명해졌고, 이는 이러한 야생의 비극에 내재한 복잡성을 강조한다.
2 건축 공모전에 대한 상반된 시각
Architects are ambivalent about competitions.
건축가들은 공모전에 대해 상반된 감정을 가지고 있다.
On a practical level, competitions are extremely expensive: entering a large competition can cost millions of dollars.
현실적인 측면에서, 공모전은 비용이 매우 많이 들어서, 대규모 공모전에 참가하는 데 수백만 달러의 비용이 들 수 있다.
More important, competitions oblige the architect to work in a vacuum.
더 중요한 것은 공모전이 건축가를 외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작업하게 한다는 점이다.
In later life, I. M. Pei refused to enter competitions, since he considered that the best architecture could emerge only from a considered dialogue between architect and client.
말년에, I. M. Pei는 공모전에 참가하기를 거부했는데, 건축가와 의뢰인 간의 신중한 대화를 통해서만 최고의 건축물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Nevertheless, the public favors competitions, since they provide an opportunity for young talent to be recognized in a field that tends to privilege age and experience.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은 공모전을 선호하는데, 공모전은 나이와 경력에 특권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는 분야에서 젊은 인재가 인정받을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Clients like competitions, since they provide an opportunity to choose between several designs ― and several architects ― while fund-raisers use competitions as a way to raise public interest in a building project.
의뢰인은 공모전을 좋아하는데, 공모전이 여러 설계안과 여러 건축가 중에서 선택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며, 한편 기금 모금자는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는 방법으로 공모전을 활용한다.
Everyone loves a horse race ― except, perhaps, the horses.
아마도 말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경마를 좋아하는 것 같다.
3 무의식이 주는 신호
In an experiment conducted by Antoine Bechara, participants were given $2,000 in play money and four decks of cards and were told that they were to use them in a game.
Antoine Bechara가 실시한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2,000달러의 게임용 돈과 네 벌의 카드를 받았고, 그것을 게임에 사용하게 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Different individual cards won or lost different sums of money.
서로 다른 개별 카드마다 따거나 잃는 총금액이 달랐다.
They should just go ahead and turn the cards and try to win as much money as they could.
참가자들은 그저 카드를 뒤집기 시작하여 가능한 한 많은 돈을 따려고 노력해야 했다.
But the cards were not random. In fact, some of the piles were far more profitable than others.
그러나 카드는 무작위가 아니었다. 사실, 일부 (카드) 더미는 다른 것들보다 훨씬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On average, it took the gamblers around fifty card-turns before they began to report a conscious ‘hunch’ that some of the decks were more profitable.
평균적으로 도박에 참여한 사람들은 약 50번 카드를 뒤집은 후에야 일부 카드 벌이 더 이득이 된다는 의식적인 ‘직감’을 보고하기 시작했다.
But when their behaviour was analysed, Bechara discovered something remarkable.
하지만 그들의 행동이 분석되었을 때 Bechara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Measurements of the electrical conductance of their skin, which can reveal levels of anxiety and nervousness, indicated that their emotions were subtly warning them against the bad decks after just ten turns.
불안과 초조함의 수준을 드러낼 수 있는 피부의 전기 전도도 측정 결과, ‘단지 열 번의 뒤집기’ 후에 좋지 않은 카드 벌에 대해 그들의 감정이 미묘하게 경고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eir unconscious mind had worked out what was happening far quicker than their conscious minds and had warned them with a hit of bad feeling.
그들의 무의식적 마음이 의식적 마음보다 훨씬 더 빨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들에게 ‘좋지 않은 감정’을 주어 경고했던 것이었다.
They knew before they knew.
그들은 자신이 알기 전에 알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