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2 (2022 개정)
10강 단어 빈칸 추론
Analysis 뇌의 감각 자극 인식
It takes on average half a second for the unconscious mind to process incoming sensory stimuli into conscious perceptions.
무의식이 들어오는 감각 자극을 의식적 지각으로 처리하는 데에는 평균적으로 0.5초가 걸린다.
Yet we are not aware of this time delay ― you think you see things move as they move, and when you stub your toe you get the impression of knowing about it right away.
하지만 우리는 이 시간 지연을 인지하지 못한다. 여러분은 사물이 움직일 때 움직이는 것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고, 발가락이 차였을 때 그것을 즉시 알아차린다는 인상을 받는다.
This illusion of immediacy is created by an ingenious mechanism, which backdates conscious perceptions to the time when the stimulus first entered the brain.
이러한 즉시성의 착각은 한 기발한 기제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의식적 지각을 자극이 처음 뇌에 들어온 시점으로 소급해서 적용한다.
On the face of it, this seems impossible because cortical signals take the same “real” time to process to consciousness, but somehow we are tricked into thinking we feel things earlier.
겉으로 보기에는 이것이 불가능해 보인다. 왜냐하면 대뇌 피질 신호는 의식으로 처리되는 데 동일한 ‘실제’ 시간이 걸리지만, 어떻게든 우리는 상황을 더 일찍 느끼는 것처럼 속게 되기 때문이다.
One way it might be explained is that consciousness consists of many parallel streams and that the brain jumps from one to another, revising them and redrafting them.
이를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의식이 많은 병렬적인 (의식의) 흐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뇌가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재빨리 이동하면서 그것들을 수정하고 다시 작성한다는 것이다.
1 협력과 태만의 기준
We not only absorb our moral codes and definitions of right and wrong from the group; the group also transmits cues about cooperation and defection and what it means to act in a trustworthy manner.
우리는 도덕 규범과 옳고 그름에 대한 정의를 집단으로부터 흡수할 뿐만 아니라, 집단은 협력과 태만,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전달하기도 한다.
People are more likely to suppress their self-interest in favor of the group interest if they feel that others are doing so as well, and they’re less likely to do so if they feel that others are taking advantage of them.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하고 있다고 느끼면 집단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이기심을 억제할 가능성이 더 높고, 다른 사람이 자신을 이용하고 있다고 느끼면 그렇게 할 가능성이 더 낮다.
The psychological mechanism for this is unclear, but certainly it is related to our innate sense of fairness.
이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지만, 우리의 타고난 공정성 감각과 확실히 관련이 있다.
We generally don’t mind sacrificing for the group, as long as we’re all sacrificing equally.
우리는 일반적으로 모두가 동등하게 희생하는 한, 집단을 위해 희생하는 것을 싫어하지 않는다.
But if we feel like we’re being taken advantage of by others who are defecting, we’re more to defect as well.
하지만 우리가 태만한 다른 사람들에게 이용당하고 있다고 느끼면 우리도 태만할 가능성이 더 높다.
2 야생 동물과 초기 인간의 관계
In their pre-predatory stage, our primate ancestors had moved through the world among other creatures that did not fear them.
포식 이전 단계에, 우리 영장류 조상은 자신들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다른 동물 사이에서 세상을 돌아다녔다.
Once they adopted carnivory, the prey they were interested in learned learned to allow close approaches at their own risk.
그들이 육식을 채택했을 때, 그들이 관심을 가졌던 사냥감은 자신의 위험을 감수하며 가까이 접근하도록 하는 법을 배웠다.
But unlike big cats or terrifying wolves that were obvious predators, upright primates didn’t automatically fit the predator template for most animals.
그러나 명백한 포식자인 큰 고양잇과 동물이나 무서운 늑대와 달리, 직립 영장류는 대부분 동물에 자동적으로 포식자 틀에 들어맞은 것은 아니었다.
Numerous examples from around the world during the past five centuries testify that upon initially encountering humans, many wild creatures did not associate us with a threat.
지난 5세기 동안 전 세계의 수많은 사례는 많은 야생 동물이 처음 인간을 마주쳤을 때, 우리를 위협과 연관 짓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한다.
In their first encounters with humans, scores of species reacted with trust and tameness.
인간과의 첫 만남에서, 많은 종은 신뢰와 온순함으로 반응했다.
There is a term of art for this: biological first contact.
이에 대한 전문 용어가 있는데, 생물학적 최초 접촉이다.
When we appeared in new geographies for the first time, wild animals had to learn to be afraid of us.
우리가 새로운 지역에 처음 나타났을 때, 야생 동물은 우리를 두려워하는 법을 배워야 했다.
Many died standing and looking, never absorbing the lesson.
많은 동물은 그러한 교훈을 전혀 받아들이지 못한 채, 서서 바라보다가 죽었다.
3 일상 언어에서의 은유
Consider the following two everyday linguistic expressions: “The election is ahead of us” and “the long Winter is now behind us.”
다음 두 가지 일상 언어 표현, 예를 들어 “선거가 우리 ‘앞에’ 있다.”와 “긴 겨울이 이제 우리 ‘뒤에’ 있다.”를 생각해 보라.
Literally, these expressions do not make any sense.
문자 그대로는, 이러한 표현은 이치에 전혀 맞지 않는다.
“An election” is not something that can physically be “ahead” of us in any measurable or observable way, and the “Winter”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physically “behind” us.
‘선거’는 어떤 측정 가능하거나 관찰 가능한 방식으로도 물리적으로 우리보다 ‘앞에’ 있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겨울’은 물리적으로 우리보다 ‘뒤에’ 있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Hundreds of thousands of these expressions, whose meaning is not literal but metaphorical, can be observed in human everyday language: “he is a cold person,” “she has strong opinions,” “the market is quite depressed.”
수십만 개의 이러한 표현은 그 의미가 문자 그대로가 아니라 ‘은유적인’ 것으로, 인간의 일상 언어에서 관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그는 ‘차가운’ 사람이다.”, “그녀는 ‘강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시장은 상당히 ‘침체되어’ 있다.”와 같은 것들이다.
Metaphor, in this sense, is not just a figure of speech, or an exceptional communicational tool in the hands of poets and artists.
이런 의미에서, 은유는 단지 수사적 표현, 혹은 시인이나 예술가들의 특별한 의사소통 도구인 것만이 아니다.
It is an ordinary mechanism of thought.
그것은 평범한 사고의 기제이다.
Usually operating unconsciously and effortlessly, it permeates nearly every aspect of human everyday (and technical) language, making imagination possible.
그것은 보통 무의식적으로 쉽게 작동하며, 인간의 일상적(그리고 기술적) 언어의 거의 모든 측면에 스며들어 상상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