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2 (2022 개정)
9강 어휘 적절성
Analysis 직접 투자의 한계점
When investors decide to buy physical goods, they follow a direct approach.
투자자가 물리적 상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하면, 그들은 직접적인 접근 방식을 따른다.
This approach provides the purest exposure to the commodity’s price, but involves a cost.
이 접근 방식은 상품의 가격에 대한 가장 순전한 노출을 제공하지만, 비용을 수반한다.
When investors buy commodities, they need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the goods and the problems that can exist if that quality is lacking.
투자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그들은 상품의 품질과 그 품질이 부족한 경우 존재할 수 있는 문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Another problem is the presence of different costs relating to storage, insurance, and cash opportunity costs.
또 다른 문제는 보관, 보험, 현금 기회비용과 관련된 다양한 비용의 존재이다.
These costs affect the management of the physical good.
이러한 비용은 물리적 상품의 관리에 영향을 준다.
As a result of the disadvantages of direct investment, investors typically prefer to indirectly assume a position in commodity markets to avoid the problems linked to the management of physical goods.
직접 투자의 단점의 결과로,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상품 관리와 관련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상품 시장에서 간접적으로 입장을 취하는 것을 선호한다.
1 자연법의 정의와 비판
According to natural law theory, moral principles are not simply the result of human convention or social agreement, but are based on fundamental principles of nature, including human nature.
자연법 이론에 따르면, 도덕적 원칙은 단순히 인간의 관습이나 사회적 합의의 결과가 아니라, 인간의 본성을 포함하여 자연의 근본적인 원칙에 기초한다.
The term “natural law” refers to a set of ethical and moral principles that are thought to be inherent in the natural world and applicable to all human beings.
‘자연법’이라는 용어는 자연계에 내재하고 있고 모든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일련의 윤리적, 도덕적 원칙을 말한다.
These principles are considered to be objective, universal, and immutable, and are often seen as a source of guidance for human behaviour.
이러한 원칙은 객관적이고 보편적이며 불변한다고 여겨지며, 인간 행동에 대한 지침의 원천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Natural law theorists believe that the natural world operates according to a set of rational principles, and that these principles can be discovered through human reason and observation.
자연법 이론가들은 자연계가 일련의 합리적인 원칙에 따라 작동하며, 이러한 원칙은 인간의 이성과 관찰을 통해 발견될 수 있다고 믿는다.
They argue that these principles provide a foundation for moral and legal systems, and that they are binding on all individuals, regardless of their cultural or social background.
그들은 이러한 원칙이 도덕적, 법적인 체계의 기초를 제공하고, 문화적 또는 사회적 배경과 관계없이 모든 개인에게 구속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Critics of natural law theory argue that it relies too heavily on unprovable assumptions about the existence of a divine purpose, and that it fails to account for the diversity of moral beliefs and practices across cultures and historical periods.
자연법 이론에 대한 비판론자들은 그것이 신성한 목적의 존재에 관한 증명할 수 없는 가정에 너무 많이 의존하고, 문화와 역사 시대 전반에 걸친 도덕적 신념과 관행의 다양성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2 학술적 글쓰기
Most academic writing involves constructing an argument or supporting a position about some question or topic.
대부분의 학술적 글쓰기는 어떤 질문이나 주제에 관한 주장을 구성하거나 입장을 뒷받침하는 것을 포함한다.
This requires clear organization with all your points directly connected to your argument or position.
이것은 여러분의 모든 요점이 여러분의 주장이나 입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명확한 구조화를 필요로 한다.
In Western academic writing, a ‘linear’ style is preferred, where one point leads directly and unambiguously to the next, with little room for digressions.
서양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선형적’ 방식이 선호되는데, 여기서는 하나의 요점이 직접적이고 모호하지 않게 다음으로 이어지면서 주제에서 벗어날 여지가 거의 없다.
The organization will depend on the purpose of the composition; a literary critique will have a different structure from a chemistry report.
구성은 작문의 목적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문학 비평은 화학 보고서와는 다른 구조를 갖게 마련이다.
Part of learning a discipline is learning the writing organization appropriately to that discipline.
어떤 학문 분야를 배우는 것의 일부는 그 학문 분야에 적합하게 글을 구성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For example, academic papers in my discipline (Applied Linguistics) usually have sections (e.g.,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Discussion, Conclusion), which are typically signposted with headings that make the organization of the paper explicit.
예를 들어, 내 학문 분야(응용 언어학)의 학술 논문에는 일반적으로 단원(예컨대 서론, 문헌 조사, 토론, 결론)이 있는데, 이것에는 일반적으로 논문의 구성을 명시적이도록 만드는 제목으로 방향이 표시된다.
3 나쁜 습관의 개선
Habits are part of our everyday lives and therefore, when we don’t clean our teeth, eat breakfast, have our morning coffee or have biscuits in the afternoon, we feel unsettled and a little bit stressed.
습관은 우리 일상생활의 일부이며, 따라서 이를 닦지 않거나, 아침을 먹지 않거나, 모닝커피를 마시지 않거나, 오후에 비스킷을 먹지 않으면 불안하고 약간 스트레스를 받는 느낌이 든다.
This feeling is unpleasant and we quickly learn that it can be avoided by carrying on with our habit.
이러한 느낌은 불쾌하며, 습관을 계속함으로써 이를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곧 알게 된다.
Therefore, not eating biscuits feels unusual, but this can all be made OK with a few biscuits.
따라서 비스킷을 먹지 않는 것은 예외적인 것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몇 개의 비스킷으로 이것은 전부 괜찮아질 수 있다.
And the habit carries on as it becomes the solution to the problem created when trying to change it. It’s a vicious circle.
그리고 습관이 그것을 바꾸려고 할 때 생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됨에 따라 그 습관은 계속된다. 이는 악순환이다.
But it’s the change in the habit which makes us feel stressed, not the absence of the actual behaviour.
하지만 우리에게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는 것은 실제 (습관) 행동의 부재가 아니라 습관의 변화이다.
And if we start to realise that the feeling of stress or worry is just ‘withdrawal’ and will only be made worse in the longer term if we give in and use the habit to get rid of it, then we can start to break the habit itself.
그리고 만약 스트레스나 걱정의 느낌이 단지 ‘금단 현상’이며, 우리가 굴복하고 습관을 이용하여 그것을 없애려고 하면 더 장기적으로 더 나빠질 뿐이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다면, 우리는 그 습관 자체를 버리기 시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