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2 (2022 개정)
14강 글의 순서 배열
Analysis 나비 표본의 모양
Until the camera came along to take photographs of living butterflies, the standard image of a butterfly was a grossly distorted one.
살아 있는 나비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등장하기 전까지, 나비의 표준 이미지는 심하게 왜곡된 것이었다.
It shows them not as they are in life but in death, mounted on a pin in a museum.
이는 그것들을 살아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죽은 상태로 보여 주는데, 박물관의 핀에 꽂혀 붙어 있다.
The wings are held out flat at ninety degrees to the body ― a posture which would sorely test the ligaments of any butterfly.
날개는 몸과 90도 각도로 납작하게 펼쳐져 있는데, 어떤 나비에게도 인대를 몹시 시험할 자세일 것이다.
It is nevertheless the shape which we instantly recognise as ‘butterfly’, whether in bow-ties or the pasta the Italians call farfalle (after farfalla, a butterfly).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우리가 나비넥타이든 이탈리아 사람들이 ‘파르팔레’(나비를 뜻하는 ‘파르팔라’에서 비롯됨)라고 부르는 파스타이든, ‘나비’로 즉시 인식하는 형태이다.
Yet in life butterflies open their wings flat only to enjoy the sun, and some species never do it at all, but settle with their wings tight shut.
하지만 살아 있을 때 나비는 태양을 즐기기 위해서만 날개를 납작하게 펴고, 어떤 종은 전혀 그렇게 하지 않는데, 자신의 날개를 꼭 닫은 채 내려앉는다.
Even when the wings are wide open, they always slope downwards more than mounted specimens, with the hindwings much closer to the butterfly’s body.
심지어 날개가 활짝 펴져 있을 때도, 뒷날개는 나비의 몸통에 훨씬 더 가깝게 붙어, 붙여진 표본보다 항상 더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1 인간의 음악과 언어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central role of music and language in human existence and the fact that both involve complex and meaningful sound sequences naturally invite comparison between the two domains.
인간이 존재하는 데 있어서 음악과 언어의 중심적인 역할과 둘 다 복잡하고 의미 있는 소리의 연속을 수반한다는 사실은 자연스럽게 두 영역 간의 비교를 유발한다.
Yet from the standpoint of modern cognitive science, music-language relations have barely begun to be explored.
그러나 현대 인지 과학의 관점에서 볼 때, 음악과 언어의 관계는 이제 겨우 탐구되기 시작했다.
This situation appears to be poised to change rapidly, as researchers from diverse fields are increasingly drawn to this interdisciplinary enterprise.
이 상황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이 여러 학문 분야가 관련된 탐구에 점점 더 끌리면서 빠르게 변화할 준비가 된 것으로 보인다.
The appeal of such research is easy to understand.
이러한 연구의 매력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Humans are unparalleled in their ability to make sense out of sound.
인간은 소리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능력에서 견줄 데가 없다.
In many other branches of our experience (e.g., visual perception, touch), we can learn much from studying the behavior and brains of other animals because our experience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irs.
다른 많은 우리의 경험 분야(예를 들어 시지각, 촉각)에서 우리는 다른 동물의 행동과 뇌를 연구함으로써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데, 왜냐하면 우리의 경험이 그것들(다른 동물)의 경험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When it comes to language and music, however, our species is unique.
그러나 언어와 음악에 관해서 우리 종은 독특하다.
This makes it difficult to gain insight into language or music as a cognitive system by comparing humans to other organisms.
이것은 인간을 다른 유기체와 비교하여 인지 체계로서의 언어나 음악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2 건강함을 나타내는 척도
There are different measures of “healthy” and “overweight.”
‘건강한’과 ‘과체중’에는 여러 가지 측정 기준이 있다.
BMI (body mass index) is widely used by health professionals and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various diseases and chronic conditions.
BMI(체질량 지수)는 건강 전문가들이 널리 사용하며 다양한 질병 및 만성 질환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However, it doesn’t reflect the amount of fat or muscle in a body, bone weight, or cultural factors, age, and gender (women tend to carry more fat).
하지만, BMI는 신체 내 지방이나 근육의 양, 뼈 무게, 또는 문화적 요인, 나이, 그리고 성별(여성은 더 많은 지방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을 반영하지 않는다.
Waist circumference is another commonly used measure because excess abdominal fat ― more than 40 inches for men and 35 inches for women ―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obesity-related conditions.
허리둘레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또 다른 측정 기준인데, 남성 40인치, 여성 35인치가 넘는 과도한 복부 지방은 비만 관련 질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While both are used to screen for potential risk, they aren’t diagnostic tools.
비록 둘 다 잠재적 위험을 검진하는 데 사용되지만, 진단 도구는 아니다.
Instead of using weight or measures like BMI to define well-being, an alternative “health at every size” approach focuses on sustainable health-promoting behavior regardless of body size.
체중이나 BMI와 같은 측정 기준을 사용하여 건강을 정의하는 대신, 대안적인 ‘모든 체격에서의 건강’ 접근 방식은 체격과 관계없이 지속 가능한 건강 증진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Proponents argue a weight-neutral approach is healthier because it avoids the potentially harmful effects of repeated dieting, such as a higher risk of early death and psychological distress.
이것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체중 중립적인 접근 방식이 더 높은 조기 사망 및 심리적 고통의 위험과 같은 반복적인 다이어트의 잠재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피하기 때문에 더 건강하다고 주장한다.
Ultimately, nutrition and health are socioeconomic issues that require understanding and empathy.
궁극적으로, 영양과 건강은 이해와 공감이 있어야 하는 사회 경제적 문제이다.
3 농장 자료의 소유권
It is common to read that farm data belongs to the farmer.
농장 자료는 농부에게 속한다고 명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It is sometimes even stated in contracts.
때로는 그것이 심지어 계약서에 명시되기도 한다.
However, ‘ownership’ is a legal assertion and data ownership is not addressed by legislation except for copyright for datasets as intellectual products.
그러나, ‘소유권’은 법적 주장이고 자료 소유권은, 지적 재화로서의 자료 모음에 대한 저작권을 제외하고는 법률에서 다루어지지 않는다.
This is partly due to the peculiar nature of data compared to other goods that can be owned.
이는 부분적으로는 소유될 수 있는 다른 재화와 비교되는 자료의 독특한 특성 때문이다.
In legal terms, it is non-rivalrous : the same data can be in different places and be owned by different people because, when data is copied or migrated to other platforms, it remains the same.
법적 측면에서 그것은 비경합적인데, 자료는 복사되거나 다른 플랫폼으로 이전되어도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동일한 자료가 다른 장소에 있을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소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ata collected in a structured dataset, which can be considered as an intellectual product by law, and raw data as individual, unstructured bits before they are collected and made sense of.
게다가, 법률에 따라 지적 재화로 간주될 수 있는, 구조화된 자료 모음의 형태로 수집된 자료와, 수집되고 이해되기 전의 개별적이고 구조화되지 않은 부분으로서의 미가공 자료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These raw data are similar to facts, for which no copyright and no ownership is legally applicable.
이러한 미가공 자료는 사실과 유사한데, 이에 대해서는 어떠한 저작권이나 소유권도 법적으로 적용 가능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