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2 (2022 개정)
12강 긴 어구 빈칸 추론
Analysis 외국어 숙달을 위한 공부
In your pursuit of proficiency in a foreign language, it’s important that you study topics that are neither too easy nor too difficult for you at any given point in time.
외국어 숙달을 추구하는 것에 있어, 시간상 어떤 특정 지점에서 너무 쉽지도 너무 어렵지도 않은 주제를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is particularly true if you’re studying a language largely on your own.
이는 여러분이 주로 혼자서 언어를 공부하고 있다면 특히 사실이다.
If you already have a working knowledge of Greek, for example, it wouldn’t be very helpful to spend all of your time studying basic vocabulary or completing elementary exercises, although some overlearning can be beneficial.
예를 들어 여러분이 그리스어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이 이미 있다면, 약간의 과잉 학습이 도움이 될 수는 있겠지만, 기본 어휘를 공부하거나 초급 연습 문제를 완료하는 데 모든 시간을 할애하는 것은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Although it may make you feel good about yourself to effortlessly rattle off simple phrases like “Where is the train station?” ultimately, rehearsing only easy material is not the best use of your study time.
“기차역이 어디죠?”와 같은 간단한 문구를 수월하게 줄줄 말하는 것이 자신에 대해 기분 좋게 느끼도록 할 수도 있지만, 결국은 쉬운 내용만 연습하는 것은 학습 시간을 가장 잘 활용하는 것이 아니다.
By the same token, if you’re a beginner, then jumping into a difficult topic, like the grammar for a language’s subjunctive mood, is not time well spent either.
마찬가지로 여러분이 초급자라면, 그렇다면 언어의 가정법 문법과 같은 어려운 주제로 뛰어드는 것도 시간을 잘 쓰는 것이 아니다.
1 중학년을 위한 문해력 교육
Literacy is crucial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at occurs in the middle grades because this is when young adolescents begin to move from narrative to expository text, a process that places increasing demands on the students’ literacy skills.
문해력은 중학년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 시기는 어린 청소년들이 이야기형 글에서 설명형 글로 넘어가기 시작하는 때이기 때문이고, 이는 학생들의 문해력 기술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요구를 하는 과정이다.
Unfortunately, despite these increasing demands on their literacy skills, formal reading instruction ends for many young adolescents once they enter middle school.
안타깝게도, 그들의 문해력 기술에 대한 이러한 요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단 그들이 중학교에 입학하면 많은 어린 청소년을 위한 정규 읽기 교육이 중단된다.
One reason for this is that only about 50 percent of middle-grades teachers receive training in the teaching of literacy, broadly conceived as integrated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이 이유 중 하나는 중학년 교사의 약 50퍼센트만이 통합된 읽기, 쓰기, 말하기, 그리고 듣기라고 널리 생각되는, 문해력의 교육에 대한 연수를 받는다는 것이다.
Fewer still receive specific training in programs such as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더 적은 수의 교사만이 여전히 교육 과정 전반에 걸친 작문과 같은 프로그램에 대한 특정 연수를 받는다.
Consequently, many teachers are less than ideally prepared to teach content-area literacy strategies to their students.
그 결과, 많은 교사는 학생들에게 내용 영역별 문해력 전략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결코 완벽하게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Given the increasing emphasis on integrated curricula in the middle grades, all teachers, regardless of the subjects they teach, are being called on to integrate the language arts into their subjects.
중학년에서 통합 교과 과정을 점점 더 강조하는 것을 고려하면, 가르치는 과목과 관계없이, 모든 교사는 언어 과목을 자신의 과목에 통합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2 소설가들의 언론인 경력
Many people who aspire to be novelists began their writing careers as journalists.
소설가가 되기를 열망하는 많은 사람이 언론인으로서 글쓰기 경력을 시작했다.
The thirteen-year-old Anne Frank had exactly this in mind for herself, and it is hard to believe that someone so full of life and so gifted at writing as a child would not have accomplished what she set out to do had the Nazis had not murdered her.
13살의 Anne Frank는 자신을 위해 정확히 이것을 염두에 두고 있었고, 어린아이로서 매우 생기 넘치고 글쓰기에 그토록 재능이 있었던 그녀가 나치에게 살해당하지 않았다면 자신이 하려고 했던 것을 성취하지 못했으리라고 믿기 어렵다.
She wrote in her diary about “the big question, will I ever be able to write something great, will I ever become a journalist or a writer?”
그녀는 자신의 일기에 “가장 궁금한 것은, 내가 언젠가는 훌륭한 글을 쓸 수 있을까, 내가 언젠가 언론인이나 작가가 될 수는 있을까?”에 대해 썼다.
There are many others, too ― Martha Gellhorn, Jack London, Margaret Mitchell (Gone With the Wind), Tom Wolfe ― who wrote for newspapers or magazines before turning to fiction.
Martha Gellhorn, Jack London, Margaret Mitchell(Gone With the Wind를 쓴), Tom Wolfe 등 소설로 전향하기 전에 신문이나 잡지에 글을 기고했던 많은 다른 사람들도 있다.
John Steinbeck, already a published novelist, wrote a series of pieces on the Okie migrant camps of California for the San Francisco News before writing his most celebrated book, also about the migrants, The Grapes of Wrath.
이미 출간한 소설가였던 John Steinbeck은 자신의 가장 유명한 책이자, 역시 이주민들에 관한 The Grapes of Wrath를 쓰기 전에 San Francisco News에 캘리포니아의 이주 농업 노동자 이주민 캠프에 대한 일련의 기사를 썼다.
3 길을 찾는 능력이 인류에게 미친 영향
Over the course of our evolution between 350,000 and 150,000 years ago, Homo sapiens developed an appetite for exploration and a wayfinding spirit that set us apart from other human species.
35만 년 전에서 15만 년 전 사이에 우리의 진화 과정에서, 호모 사피엔스는 우리를 다른 인간종과 구별하는 탐험에 대한 욕구와 길을 찾는 정신을 발전시켰다.
It had a huge effect on our future.
이는 우리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쳤다.
One of the most intriguing recent ideas in anthropology is that our ability to navigate was essential to our success as a species, because it allowed us to cultivate extensive social networks.
인류학에서 최근 가장 흥미로운 생각 중 하나는 길을 찾아 나가는 우리의 능력이 종으로서 우리의 성공에 필수적이었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가 광범위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In prehistoric times, when people lived in small family units and spent much of their time looking for food and shelter, being able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groups about the whereabouts of resources and the movements of predators would have given us an evolutionary edge.
선사 시대에 사람들이 소규모 가족 단위로 살고 그들의 대부분 시간을 식량과 은신처를 찾는 데 보냈을 때, 자원의 소재와 포식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다른 집단과 공유할 수 있는 것은 우리에게 진화적으로 강점을 주었을 것이다.
Friends were a survival asset. If you ran out of food, you knew where to go; if you needed help on a hunt, you knew who to ask.
친구는 생존의 자산이었다. 만약 식량이 떨어지면 여러분은 어디로 가야 할지 알고 있었고, 사냥에 도움이 필요하면 누구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알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