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2 (2022 개정)
11강 짧은 어구 빈칸 추론
Analysis 물의 가변적인 성격
Water essentially has no persona of its own, but has an extraordinary quality.
물은 본질적으로 자신만의 페르소나는 없지만, 놀라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Water as a liquid has no shape, yet it is readily defined by its surroundings.
액체로서의 물은 형태가 없지만, 그것의 주변 환경에 의해 쉽게 정의된다.
Water has no hardness; it is completely yielding to the touch, yet is hard as concrete when impacted at high speed.
물은 단단함이 없어, 만지면 전적으로 순응하지만, 빠른 속도로 충돌하면 콘크리트처럼 단단하다.
Water has no color when view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yet becomes vividly green or blue as an ocean, and readily reflects at its surface everything around it.
투명한 용기 안에서 보이는 물은 색이 없지만, 바다에서는 선명하게 녹색이나 파란색이 되고, 그것 주변의 모든 것을 그것의 표면에서 쉽게 반사한다.
Pure water has no taste, yet it readily absorbs and transmits the taste of any suspended or dissolved substances.
순수한 물은 맛이 없지만, 부유하거나 용해된 물질의 맛은 어떠한 것도 쉽게 흡수하고 전달한다.
It has no smell, yet, as atmospheric humidity, readily distributes the aromas of its surroundings.
그것은 냄새는 없지만, 대기의 습기로 주변 환경의 향기를 쉽게 퍼뜨린다.
This ubiquitous part of our environment truly has a variable personality, readily changing to assimilate its surroundings.
우리 주위의 어디에나 있는 이러한 성분은 쉽게 그것의 주변 환경에 동화되기 위해 변화하는, 실로 가변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1 심상 지도의 특징
I suppose everyone has at one time or another drawn a mental map, and it offers little conceptual difficulty.
나는 누구나 한 번쯤은 심상 지도를 그려 본 적이 있을 것이고, 그것은 개념상의 어려움을 거의 주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In my classes, I ask students to draw a map by hand, in just five minutes, showing their route to and from class.
내 수업 시간에 나는 학생들에게 단 5분 안에, 수업을 오가는 경로를 보여 주는 지도를 손으로 그려 보라고 요청한다.
No two maps are ever entirely the same, of course, and none are to scale.
물론 두 지도가 완전히 똑같은 경우는 없으며, 어느 것도 축척대로 설계될 수 없다.
Nevertheless, most of the maps are easily understood.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도는 쉽게 이해된다.
This shows that while we all produce our own versions of spatial reality, we can see particular landmarks that communicate to all of us in a social community.
이는 우리가 모두 자기만의 버전의 공간적 현실을 만들어 내지만, 사회적 공동체에 있는 우리 모두에게 소통되는 특정한 지형지물을 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Mental maps tend to highlight important parts of a route, with streets labelled to indicate where to turn.
심상 지도는 어디에서 돌아야 하는지 나타내기 위해 도로가 표시되면서 어떤 경로의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Such maps tend to include informal but understood cultural references.
그런 지도는 비공식적이지만 이해가 되는 문화적 참조 표시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Where a professionally made street map might give you numbered addresses, a mental map is more likely to describe a route by referencing visible features like “a giant blue gorilla” outside a car dealership or “that old pink Victorian house.”
전문적으로 제작된 거리 지도는 숫자로 표시된 주소를 제공하는 반면, 심상 지도는 자동차 판매 대리점 밖에 있는 ‘거대한 파란색 고릴라’나 ‘그 오래된 분홍색 빅토리아풍 집’과 같이 눈에 띄는 특징을 참조하여 경로를 설명할 가능성이 더 크다.
2 익숙한 것과 익숙하지 않은 것
People tend to pay less attention to familiar things, whether it’s a possession or even a person.
사람들은 소유물이든 사람이든 간에, 익숙한 것에 주의를 덜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On the whole, this adaptive behavior is biologically useful (for objects, events, and situations), because it is usually the novel, unexpected things in life that require the most attention.
전반적으로 이러한 적응 행동은 (사물, 사건 및 상황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유용한데, 왜냐하면 가장 주의가 필요한 것은 대개 인생에서 새롭고, 예상치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The brain naturally adapts to repeated experiences.
뇌는 반복된 경험에 자연스럽게 적응한다.
If I were to show you a series of repeated images and measure your brain responses, the activity would diminish with the repetitions.
만약 내가 여러분에게 일련의 반복된 이미지를 보여 주고 뇌의 반응을 측정한다면, (뇌의) 활동은 반복할수록 감소할 것이다.
Your brain would respond again only when something new was presented.
뇌는 새로운 것이 제시될 때만 다시 반응할 것이다.
Scientists have shown that the biggest responses always come with the least expected event.
과학자들은 가장 큰 반응은 항상 가장 예상치 못한 사건에서 온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A simple sentence such as, “He picked up the hammer and nail” gives a tiny response; change the last few words, “He picked up the hammer and ate it,” and you’ll see a much larger one.
“그는 망치와 못을 집어 들었다.”와 같은 간단한 문장은 아주 작은 반응을 보이지만, 마지막 몇 단어를 바꿔서 “그는 망치를 집어서 그것을 먹었다.”가 되면 훨씬 더 큰 반응을 보게 된다.
3 후회감이 향후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In one experiment, Keith Markman and two colleagues gave participants tenanagrams to solve.
한 실험에서, Keith Markman과 두 명의 동료는 참가자들에게 풀어야 할 10개의 철자 순서를 바꾸어 만든 말을 주었다.
After supposedly “grading” the results, they told participants that they’d found only half of the available words.
겉으로 보기에 결과를 ‘채점’한 후, 그들은 참가자들에게 가능한 단어 중 절반만 찾았다고 말했다.
Then they poked people with a little regret.
그런 다음 그들은 사람들에게 약간의 후회감을 슬쩍 불러일으켰다.
“Close your eyes and think about your actual performance on the anagrams compared to how you might have performed better,” they told the participants.
“여러분의 눈을 감고 철자 순서 바꾸기 과제에서의 여러분의 실제 성과를 여러분이 성과를 더 잘 냈을 수도 있는 방식과 비교하여 생각해 보세요.”라고 그들은 참가자들에게 말했다.
“Take a minute and vividly evaluate your performance in comparison to how you might have performed better.”
“잠시 여러분의 실제 성과를 여러분이 성과를 더 잘 냈을 수도 있는 방식과 비교하여 생생하게 평가해 보세요.”
Their heads now swimming with If Onlys, these puzzle solvers felt worse ― especially compared to another group that had been asked to make At Least comparisons.
이제 그들의 머릿속에 ‘만약 ~했다면’이 가득한 이 퍼즐 해결자들은 특히 ‘적어도’ 비교를 하도록 요청받은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 더 기분이 나빠졌다.
But on the next round, the regretful group solved more puzzles and stuck with the task longer than anyone else in the experiment.
하지만 다음 라운드에서 후회감을 느꼈던 집단은 더 많은 퍼즐 과제를 해결했고 실험의 다른 누구보다 더 오래 과제를 계속하고 있었다.
This is one of the central findings on regret: it can deepen persistence, which almost always elevates performance.
이것은 후회감에 대한 핵심적인 연구 결과 중 하나이다. 후회감은 끈기를 심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거의 항상 성과를 높인다.